[ADHD(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정의) ADHD는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장애로,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하여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상태를 말한다. 이러한 증상들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아동기 내내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이 지속되고, 일부의 경우 청소년기와 성인기가 되어서도 증상이 남게 된다. 일부의 경우 반사회성 인격장애로 발달하기도 한다. 전세계적으로 학령기 아동청소년의 ADHD 유병률은 약 3~8% 정도이고, 남자 아이가 여자 아이보다 약 3배 정도 더 높다. 국내연구에서도 초등학생의 6~8%가 ADHD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기 이후 성인기까지 지속되는 경우도 30%에서 많게는 7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원인) 뇌 안에서 주의집중능력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주의집중력과 행동을 통제하는 뇌 부위의 구조 및 기능의 변화가 ADHD의 발생과 관련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뇌손상, 뇌의 후천적 질병, 미숙아 등이 ADHD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증상) 주의력결핍증상
- 주의집중을 하지 못한다.
- 멍하게 딴 생각을 한다.
- 남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지 않는다.
- 학습놀이나 놀이 중에 주의력이 쉽게 분산된다.
- 꼼꼼하지 못하고 부주의한 실수가 잦다
- 지시대로 잘 따라 하지 못한다.
- 주어진 과제를 끝마치지 못한다.
- 주어진 일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한다.
- 물건들을 자주 잃어버린다.
- 해야 할 일들이나 약속 등을 잘 망각한다.
과잉행동 및 충동성 증상
- 정신적 노력이 많이 드는 일들을 귀찮아한다.
- 발에 바퀴가 달린 것처럼 계속 움직인다.
- 자리에 가만히 앉아있지 못한다.
- 손발을 꼼지락 대고 만지작거린다.
- 지나치게 말이 많다.
- 질문이 채 끝나기 전에 성급하게 대답한다.
- 순서를 지키는 것을 힘들어한다.
- 다른 사람의 활동을 방해하고 간섭한다.
- 조용히 놀지 못한다.
- 참고 기다리는 것이 어렵다.
[ASPD(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반사회성 인격장애]
(정의) 반사회성 인격장애는 인격장애 중 하나이다. 인격장애란 성격이나 행동이 보통 사람들의 수준을 벗어나 편향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현실 사회에서 자신에게나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되는 성격이상으로 정의할 수 있다.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예전에는 정신병질자(psychopathy), 사회병질자(sociopahy)라고 불렀다. 반사회성 인격장애가 있는 사람은 사회적 규범이 없는 사람으로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범한다. 또한 자신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죄책감이 없으며 그것이 잘못인지를 인정하지 못한다. 따라서 범죄자 중에서 반사회성 인격장애의 비율이 높다.
(원인) 반사회성 인격장애가 선천적인지 후천적인지에 대해선 논란이 있다. 두가지 모두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이며, 선천적으로 충동성과 감각 추구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행동억제 수준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것은 세로토닌계를 포함한 중격 해마체계와 관련되있기 때문이다.
(증상) 또한 각성 수준(arousal)이 비정상적으로 낮기 때문에 위험하고 충동적인 행동을 찾게 된다. 환경적인 원인으로는, 몇가지 상황이 반사회성 인격 장애와 관련있다고 알려져 있다. 품행장애사회화를 배우는 과정에서 규범을 습득하지 못하게 되면서 사회에 적응하지 못해 발생한다고 한다. 또한 어린시절의 바람직하지 못한 경험과 사건으로 인해 인격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것이라 여겨진다.
반사회적 행동은 청소년기 이후 나타나게 된다. 보통 18세 이하의 경우 품행장애라고 하여 학교에서 정학당하거나 무단결석, 반복된 거짓말, 청소년 비행 등을 보여 준다. 성장하면서 범법행위를 일삼고, 성적인 문란, 채무 불이행, 가정생활에서도 무책임함을 보인다. 겉보기에는 합리적이게 보이지만 신의가 없고 우울이나 슬픔을 보여야 할 상황에서도 냉정한 모습을 보인다.
[low arousal theory (related to ADHD/ASPD)]
ADHD 혹은 ASPD(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겪고있는 사람들은 본연적으로 각성상태가 매우 낮기 때문에 (abnormally low arousal/emotional arousal) 성취와 만족감을 위해 극단적인 활동과 자극이 필요하다. 이렇게 각성상태가 낮으면 주의력이 상당히 낮기에 창의성을 발휘하거나 위기상황을 알아차리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이에관한 이론이 low arousal theory이다.
보통 ADHD가 ASPD의 precursor라고 생각된다. ADHD는 30~50%의 경우 행실장애/행위장애(conduct disorder)와 같이 작용한다. 이는 공격적인 태도의 발전을 유발하며 환자가 ASPD로 발전할 수 있도록 한다.
연구자들은 아직 환자들이 무엇 때문에 낮은 emotional arousal을 갖게됬는지 명확히 알아내지 못했다. 학자들은 원인에 대해서 세가지 이론을 제시했다
첫째, emotional arousal은 굉장히 유전적이다
둘째, emotional arousal이 낮은사람들 중 일부는 시상하부 뇌하수체 부신 축(HPA)의 각성정도가 굉장히 낮다. 에피네프린과 코티솔의 분비량이 낮아진다. 이 두 호르몬은 위험감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셋째, 감정조절을 관장하는 편도체의 과소활동을 유발한다. 이는 low arousal을 겪는 사람들이 가끔 타인에 대한 감정적 반응이나 공감능력이 부족한 것과 관련이 있다.
ADHD는 도파민 시스템의 기능의 오작동malfunction과 연관이 있다. 연구에 따르면 자극이 특정한 정도의 정신적각성psychological arousal을 유발했을 때 최상의 성과가 나온다고 한다. 마치 여키슨-도슨 법칙에서 최상의 performance를 위한 optimal arousal이 있었던 것 처럼 말이다. 뇌기능을 돕기 위해 소음을 사용했을 때 (확률적 공명 stochastic resonance) ADHD환자들의 경우 정상인보다 훨씬 더 많은 소음이 필요했다. 도파민이 적기 때문이다.
[참고]
Low arousal theory
https://en.wikipedia.org/wiki/Low_arousal_theory
ADHD와 stimulant
http://journal.frontiersin.org/article/10.3389/fnins.2013.00082/full
ADHD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86
ASPD
http://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4
'정신. 심리 > 정신.심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만에 에고그램테스트 (0) | 2016.11.22 |
---|---|
자기방어의 분류 (0) | 2016.10.06 |
여키슨-도슨 법칙과 정신질환 - (2) 불안장애 (0) | 2016.10.04 |
여키슨-도슨 법칙과 정신질환 - (1) 여키슨-도슨 법칙(Yerkes-Dodson Theory) (0) | 2016.10.04 |
도덕적 융통성과 자기제어 (0) | 2015.10.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