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7

SORI NA 완전 힙합음악에 춤추는 분.. 춤영상들 찾아보면 EDM이나 POP에 춤추는 분들이 많고, 약간 좀더 넓은 의미로서 urban dance들이 많은 것 같은데 이분은 완전 힙합 리얼 스웩이다. 원밀리언댄스 / sori na choreography 검색하면 영상들 많이 나오는데 나는 이게 제일 좋은거같다. 마지막에 박자맞춰서 딱딱 해서 인사할때 깐지.. 이분은 원밀리언댄스라는 엄청나게 유명한 곳(박재범이 여기서 춤춘 영상도 있다..)에서 안무가로 있는거같다. 박자감이 리얼로 엄청난거같고 섬세한 움직임이좋다해야되나 엄청 디테일하게 춘다. 학창시절을 플로리다에서 보냈다는데, 리얼 남부힙합 본토답게 그쪽 음악으로 많이 추는거같기도 하다. 선곡이 되게 내스타일이다. 꼭 춤이 아니더라도 힙합좋아하는사람들은 영상들 찾아.. 2017. 6. 5.
술과 소변 생리학적 짤지식 Alcohol은 항이뇨호르몬adh의 분비를 감소시켜 원위세뇨관 (distal tubule)과 속질집합관 (medullary collecting duct)에서 물의 재흡수를 억제해(water permeability를 감소시킴) 소변으로 물이 많이 배출되도록한다. => 술마실때 탈수되는 이유 2017. 6. 4.
암(악성종양) 조직의 생화학적 특징 : The hallmark of cancer 암 세포란 위 그림처럼 비정상적으로 세포분열을 일으키는 세포를 말한다. 정상세포로서 기능을 하지 못하고, dedifferentiation(역분화)를 유발한다고 할 정도로, 원래 장기의 기능을 퇴화시킨다. 암을 1,2,3,4기로 나누기도하는데 질병이 이렇게 나뉘는 것은 1) 진단과 예후, 2) 진행 progression, 3) 치료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위 사진의 두번째 그림처럼 암세포가 주변조직을 침범하면 3기 (Local invasion), 세번째 그림처럼 다른 장기나 다른 조직으로 전이가 되면 4기(metastasis)라고 한다. 2000년도에 Hanahan D와 Weinberg라는 교수는 Cell 저널에 "The hallmark of Cancer"라는 논문을 통해 암조직이 보여주는 특.. 2017. 6. 3.
[2017.3.30 심연 발제] 애착 심리학 애착 심리학 I. 호감의 네가지 법칙: 근접성, 외모, 유사성, 상호성 (영향력 순서) 외모 : Alexander Todorov – 얼굴을 보고 0.1초만에 매력, 호감도, 신뢰도 판단 (첫인상, 초두효과)유사성 : 나랑 비슷한 대상에게 끌린다 (거절당할 가능성 줄이기/Murray Bowen)상호성 : 상대방을 빚진 상태로 만들어라 (책 “설득의 심리학”에 자세히 소개)근접성 : 단순노출효과 ** 근접성시간적 – 자주보기공간적 – 물리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기 / 스킨쉽 / contact comfort, proximity(아서 아론의 연구, 칼럼니스트 맨디 랜) II. 해리할로의 원숭이 실험 – 유아애착 & 근접성(1) 배경1) 정신분석학적 (추동이론, 대상관계이론, 프로이트파)- 사랑의 기본이 생리적 .. 2017. 6.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