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67

논문쓸때 tip 실험결과 (table/ graph)를 가장 먼저 써야한다. 실험결과를 쓰고 자기가 자료를 수집하고 결과를 해석했던 방법을 바탕으로 procedure/method 등을 쓴다. 그 후 결론, 해석 등을 쓴 후에 논문을 다시 다 review 해보고 본인이 이 연구를 왜 했었는지, 무슨 가치가 있는지 깨달은 후에 서론을 써야한다. 요약: 실험결과를 젤 먼저쓰고 서론을 젤 마지막에 by 임도선 교수님 2015. 11. 4.
[세계미술감상] 신윤복의 그림을 통해 본, 조선시대 고위계층의 풍류와 로맨스.. 조선시대 풍속화의 대표주자 – 김홍도/신윤복 김홍도와 신윤복은 같은 시대를 살았지만 당시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과 그림의 분위기는 많이 달랐죠. 김홍도가 노동하는 사람을, 신윤복은 놀이를 즐기는 양반을 즐겨 그렸습니다. 덕분에 우리는 그들이 그린 그림을 통해 조선 후기의 다양한 생활상을 접할 수 있습니다. 신윤복은 자를 입부(笠父), 호를 혜원(蕙園)이라 하며. 화원으로서 첨사(僉使)를 지냈습니다. (궁중화가였다는 뜻) 檀園 金弘道(김홍도)와 더불어 조선 후기의 풍속화를 대성시킨 인물로. 특히 기녀(妓女)와 한량 등을 등장시키고 남녀 간의 애정을 곧잘 소재로 택하여. 섬세하고 세련된 필치로 능숙하게 묘사하였습니다. 신윤복은 화원화가였기 때문에, 양반들의 생활상과 풍류를 그림을 통해 세밀하게 묘사하였습니다... 2015. 11. 4.
교과서 국정화가 되던 안되던.. 국정화가 되던 안되던, 이번 이벤트로 인해서 정치공학적으로 현 정부는 이득을 본다. 공천권 둘러싼 분쟁이나 비박 친박계간 권력다툼을 떠나 여당이 통합되었다. 반면에 야당은, 안철수의원, 김한길 의원 등이 문재인대표에게 문책성 발언을 하는 것에서 볼 수 있듯 유리한 상황에서도 기회를 살리지 못하는것 같다. 통합되어 하나의 목표를 위해 힘쓰기보단 각자의 의견을 내기 바쁘다.좀 더 영리해질 필요가 있을것 같다. http://mnews.joins.com/article/18967785?cloc=joongang|marticle|moretrend 2015. 10. 31.
도덕적 융통성과 자기제어 2009 하버드 심리학과 연구결과(도덕적 융통성 관련)도덕적 융통성이란 : 상황에 맞추어 본인을 속이거나 남을 속이는데 거리낌없을 수 있는 능력 [연구결과] 거짓말을 원체 하지 않는 사람은 (거짓말을 하지않는, 부정행위를 저지르지않는 사람/ 도덕적 융통성이 없는 사람) 정직하는데에 어떤 노력도 필요없음 자기제어와 관련된 전방 대상피질과 배측면 전두엽 피질에 뇌활성도가 관측되지않음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거짓말은 필요에따라 하는 사람들/ 도덕적융통성이 있는 사람들) 정직하는데에 자기제어가 필요함 자기제어와 관련된 뇌 영역이 활성화됨이는 거짓말을하지않을때 뿐만 아니라 유혹에넘어가지 않으려 할때, 습관화된 행동을 하지 않으려할때 뇌의 그 특정 영역이 활성화되는것과 동일함 [결론] 도덕적 융통성이 있는 사람들은 .. 2015. 10. 26.